반응형

금리인상 9

[+37,666원] 달러, 엔화 매매 일지 (11.16) [환율, 환테크, 경제]

어제는 회식으로 인증이 늦었네요. 1. 16,546원, 달러 농사 씨뿌리기 다음날 환율 고시가 되면, 미리 전날에 농사지을 씨를 뿌립니다. 몇일 전부터 기회는 주지 않지만, 시스템이 막힌것이 아니지만 잘 못먹게 하네요. 찰 나의 순간에 기회를 포착하고, 씨를 뿌려야 합니다. 달러 농사로 다음 날 자동 매매 수익 획득 합니다. 씨를 뿌려야 씨앗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14,2800원, 엔화 매매 전날 마감 고시를 낮게 하는 기업은행에서 엔화를 매수 하였습니다. 기업은 12시 까지 환테크가 가능하며, 낮은 가격에 고시하다보니, 다음날 상승시도 수익분이 커지게 됩니다. 낮게 고시하는 엔화를 꾸준히 매집하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3. 6,840원, 달러 매수 이용 스위치온(가명)은 환테크에 아주 좋은 플..

돈이되는 정보 2022.11.17

[환테크] 달러, 엔화 투자 (feat, 파월 잭슨홀, 금리 인상)

안녕하세요 박책임 입니다. 금요일 이후에 달러가 크게 움직였습니다. 달러와, 파월의 매파적인 발언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목차 1. 파월 연설 2. 가계대출 부담 3. 달러 투자 8/26(금) 장 마감전까지는 1337원의 달러가, 미국 주식시장이 오픈되고 파월의 연설이 있은 후에 1,343원으로 뛰어 올랐습니다. 이 때,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8/29(월) 달러 환율 입니다. 시중은행은 1,337원에 머물러 있는데 미국의 달러는 1,343원으로 약 6원이 차이가 납니다. 우리는 장이 시작하기 전에 달러를 매수하고, 가능한 장이 시작하였을 때 달러를 매도하여 차익금을 남겨야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월요일 오전 환율이 어떻게 움직일 지는 신의 영역이며, 우리는 현재에 집중하며 약 6원의 차이가 나는 환율..

카테고리 없음 2022.08.29

[환율 급등] 환율과 부동산의 관계 (집값 전망, 금리)

환율 상승이 심상치 않습니다. 그럼 환율과 부동산의 상관 관계가 어떨지 알아볼게요. 목차 1. 환율 상승 2. 환율과 부동산 관계 3. 환율 상승과 부동산 가격 환율 상승 27일 오전 원/달러 환율이 급등해 달러당 1,260원 선을 너어서고 있습니다. 환율은 전일보다 10.7원 보다 높게 개장하였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직후인 2020년 3월 24일 이후 2년 1개월 만에 원 다럴 환율 1,260선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환율과 부동산의 관계는? 우선, 대출금리측면에서 따지게 되면, 집을 사기위해서는 몇 억을 대출받아 집을 사기에 금리가 1%만 뛰어도 이자 부담이 증가합니다. 그래서, 금리가 높을 때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사는 것이 꺼려집니다. 이와 달리 금리가 낮다면, 이자부담이 작아서 대출을 받아 집을 ..

돈이되는 정보 2022.04.27

[코인시황] 암호화폐 최신뉴스(feat. 비트코인, 알트코인 전망)

안녕하세요 금일 기준 암호화폐 최신뉴스 전달 드립니다. 목차 1. 비트코인 시세 2. 주간 상승 코인 3. 비트코인 검색 지표 하락 비트코인 시세 비트코인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과 더불어 통화량 위축에 따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인프레이션 피크 아웃'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발언가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나스닥과 투자심리가 위축 되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 0.75포인트 가능성을 언급하였고, 파월연준 의장은 "3월이 인플레이션 피크는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날 발표와 같이 다우지수는 2.82% 폭락하고, 나스닥과 S%P500도 유사한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5,000만원대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

돈이되는 정보 2022.04.26

[암호화폐] 금리인상, 코인 시장 활성화 (러시아 철수)

목차 1. 금리인상, 가상화폐시장 활성화 2. 우크라이나 위기 완화 3. 주담대 금리 0.05% 하락 미 금리인상, 가상화폐시장 활성화 미국의 톰리 글로벌 어드바이저 수석연구원이 미국의 금리 상승이 오히려 암호화폐 시장의 전망을 활성화 한다고 밝혔습니다. 금리 상승으로 갈 곳을 잃은 막대한 채권 시장의 자그이 이제 막 성장 초입에 있는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입이 클 것으로 전망 했네요. 금리는 지난 30여년간 하락세를 이어오다가, 반등하는 시점으로 앞으로 10년 채권에 투자를 한다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크게 됩니다. 톰 리는 미국 가계들이 보유한 자산이 약 1745조이며, 그중 60조 달러가 채권관련 상품에 집중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금리 상승으로 이 자금은 채권시장을 빠져나와 주식시장으로 흘러가겠지만, ..

돈이되는 정보 2022.02.16

[경제] 유가, 환율, 금리 급등 (feat. 22년 인플레이션 잡기)

목차 1. 유가, 환율, 금리 급등 2. 미국 금리 인상 3. 소상공인 대출연장, 유예 종료 4. 요약 유가, 환율, 금리 급등에 앞으로도 미국, 유럽은행, 한국 뿐안 아니라 고성장, 고금리 시대로 가고 있습니다.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서 오늘은 정리해 볼게요. 유가, 환율, 금리 급등 22년 새해가 지났습니다.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늘고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의 영향인데요, 미국 경제의 고용노동 지수와 소비자 물가지수가 상승도 되고있는 가운데, 현 경제 상황은 외부적으로도 악재가 많아 보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막대한 재정을 풀었던 미국과 유럽 나라들이, 통화량 회수를 위해 금리 상승을 앞두고 있으며 원 달러 환율은 1200원대로 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

돈이되는 정보 2022.02.07

[인플레이션] 파월, 미국 금리인상 도래 (feat. 스태그플레이션)

목차 1.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2. 기준금리 인상으로, 물가안정 3. 국내 시장 대응 1981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시한번 인플레이션의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6.8% 상승하였으며,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7% 오를 예정입니다. 교과서대로 배운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저성장)이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어떤 정책을 펼칠 것인지 월가는 긴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파월에게 현, 스태그플레이션은 큰 도전으로 보입니다. 이제까지 경기부양에만 신경썼다면, 지금부터는 물가안정에 집중하여야 합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금융위기 이후 코로나 팬데믹 이후 디플레이션을 막는 일에 더 급하였습니다. 파월 의장은 수요가 늘고, 글로..

돈이되는 정보 2022.01.11

[금리 인상] 미국 FOMC 자산매입 축소 (feat. 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 기준 금리 인상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어, FOMC 예상과 한국 시장의 영향에 대해 오늘은 올려보고자 합니다. 목차 1. 미국,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 2. 미 물가 6.8% 상승 3. 연준,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 연준은 치솟는 물가에 대비하여 내년 9월 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6월로 앞당겨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을 80.9%로 전망하고 있으며, 모건스탠리도 내년 9월 금리 인상 시기보다 2개 분기 앞당겨 예측하고 있습니다. 12월 14~15일 열리는 FOMC 정례회의상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완료 시점이 내년 3월로 더 앞당겨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금리 인상을 위한 준비단계로, 잔산 매입을 3월까지 축..

돈이되는 정보 2021.12.13

[금리인상] 한국은행, FED 인플레이션 잡기 (feat. 테이퍼링)

목차 1. 한국은행 금리인상 사이클 진입 2. FED, 인플레이션 대책 3. 요약 한국은행 금리인상 사이클 진입 한국은행은 2년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며,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었다."고 공식화 하였습니다. 부채 증가와 자산가격 상승으로 인한 금융 불균형에 대한 경고 목소리를 내며,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더 오를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으로 시장의 가계대출 잡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사실상 금리 추가 인상을 공식화 하였습니다. 실제 가계대출 증가와 주택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한국은행이 우려하는 금융 불균형 상황이 심각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가계대출은 79조 7,000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금리 인상 시기에..

돈이되는 정보 2021.09.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