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상시기 2

[금리 인상] 미국 FOMC 자산매입 축소 (feat. 인플레이션)

안녕하세요.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 기준 금리 인상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어, FOMC 예상과 한국 시장의 영향에 대해 오늘은 올려보고자 합니다. 목차 1. 미국,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 2. 미 물가 6.8% 상승 3. 연준,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 연준은 치솟는 물가에 대비하여 내년 9월 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6월로 앞당겨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내년 6월 금리 인상 예정을 80.9%로 전망하고 있으며, 모건스탠리도 내년 9월 금리 인상 시기보다 2개 분기 앞당겨 예측하고 있습니다. 12월 14~15일 열리는 FOMC 정례회의상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완료 시점이 내년 3월로 더 앞당겨질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금리 인상을 위한 준비단계로, 잔산 매입을 3월까지 축..

돈이되는 정보 2021.12.13

[금리인상] 한국은행, FED 인플레이션 잡기 (feat. 테이퍼링)

목차 1. 한국은행 금리인상 사이클 진입 2. FED, 인플레이션 대책 3. 요약 한국은행 금리인상 사이클 진입 한국은행은 2년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리며, "금리인상 사이클이 시작되었다."고 공식화 하였습니다. 부채 증가와 자산가격 상승으로 인한 금융 불균형에 대한 경고 목소리를 내며,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더 오를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으로 시장의 가계대출 잡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사실상 금리 추가 인상을 공식화 하였습니다. 실제 가계대출 증가와 주택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한국은행이 우려하는 금융 불균형 상황이 심각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가계대출은 79조 7,000억원이 증가하였습니다. 금리 인상 시기에..

돈이되는 정보 2021.09.11
반응형